솔루션의 기반 이론
동기부여와 보상은 우리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키워드입니다. 우리의 동기부여 & 보상 모델은 다음과 같은 이론에 기초하여 설계 되었습니다.
기대이론(Expectancy theory) – 기대, 보상, 선호도의 조합출처: Victor Vroom, Psychologist, Canada
“여기 결혼을 1개월 앞둔 예비신부가 있습니다. 그녀는 결혼 전 5kg을 감량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의 동기부여를 위해 운동으로 체중을 5Kg 감량 하면, 자동차를 사준다고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그녀는 운동을 해본 적도 없고, 도저히 운동에는 자신이 없어 그냥 굶기로 결정했습니다.”
Vroom은 동기가 1. 노력하면 성과가 창출 될 것이라는 믿음인 기대 성 (Expectancy), 2. 성과가 보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믿음인 수단 성 (instrumentality), 3. 개인이 보상을 선호하는 정도인 선호 성 (Preference) 에 의해 결정되어진다고 보았습니다. 즉, 자신 있는 일에 대한 보상이 확실하고, 그 보상이 선호하는 것일 경우에 동기가 향상된다는 이론입니다.
Vroom의 기대이론을 위 사례에 비교해 본다면,
1. 예비신부는 운동으로 5Kg을 감량하면 어떤 몸매를 가지게 될 것이라는 경험이 없으므로 성과에 대한 “기대”가 없습니다.
2. 평소 아버지는 약속을 잘 지키지 않았습니다. 운동으로 5kg을 감량하더라도 자동차를 사줄 거란 “믿음”이 없었습니다.
3. 사실 예비신부는 예비 신랑이 차를 가지고 있고 운전을 좋아하지 않아 차가 특별히 필요가 없습니다.
위 사례에서 예비 신부에게 운동은 노력해도 성과에 대한 확신, 보상을 받을 것이라는 믿음이 없었고, 설사 보상을 받는다 하더라도 특별히 선호 하던 것이 아니었기에 그냥 굶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동기는 성과가 나타날 것이라 믿고, 그 성과에는 보상이 따르며, 그 보상이 자신이 선호하는 것일 때 극대화 됩니다.
목표 설정이론 (Goal Setting theory)- 좋은 목표의 조건출처: Edwin A. Locke. Psychologist, US
Locke의 “목표설정이론” 은 절절한 목표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Locke는 개인이 자신의 현재 상황과 가치관을 비교한 뒤, 현재 상황에 대한 불만으로 인해 목표를 설정하고 행동하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론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목표는 행동 방향을 결정해 줄 뿐만 아니라, 행동의 평가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일단 “좋은 목표가 제시“ 되어 야 합니다. 목표 설정 이론에 따르면 좋은 목표는 구체적이고, 적정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복잡하기 보다는 간단하고 정형적인 일이 목표로 인한 동기부여 효과가 높으며, 또한 개인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목표몰입”이 필요하다고 강조 했습니다. 목표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목표를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거나 함께해야 한다는 효과적인 방법도 제시했습니다.
Last updated